내 셀프리더십 유형 3분 만에 알아보기

내가 나를 잘 이끌어 갈 수 있는 힘, 셀프리더십 성장 팁 확인하세요!

2025.04.29

임팩트생태계
나는 왜 결정을 못 할까?

인생은 결정해야 하는 것들 투성이죠. 일상 속 작은 선택부터 중요한 진로 문제까지, 결정을 못 내려 갈팡질팡 한 적 있지 않나요? 내가 진짜 원하는 게 뭔지 모르거나, 결정에 따라오는 책임이 두려울 때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자기 주관이 뚜렷하고 목표가 분명한 사람들은 결정을 쉽게 내리는 것처럼 보이기도 해요. 그렇다면 결정 잘 하는 능력도 기를 수 있을까요?

우린 이걸 ‘셀프리더십’이라고 불러요.

‘셀프리더십’이란 쉽게 말해 스스로를 잘 끌고 가는 힘입니다. 주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해 동기부여하고, 실천에 옮기는 모든 과정에 필요한 힘이죠. 이건 타고나는 것이 아닌, ‘길러야 하는 힘’이에요. 셀프리더십을 기르면 인생의 방향 설정부터 목표 설정, 실제 실천에 옮기는 것까지 주도적으로 할 수 있게 됩니다. 모든 것을 내가 주도적으로 결정하게 되는 만큼, 결정의 근거가 명확해지고 후회 없는 선택을 할 수 있게 될 거예요.

임팩트 커리어 필수 역량!

특히, 임팩트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다면 셀프리더십은 필수 역량이에요. 뉴웨이즈, 동구밭, 파타고니아 코리아 등 임팩트 조직 채용 담당자 인터뷰해 뽑고 싶은 인재의 특징을 조사했는데, ‘주도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가진 인재를 공통적으로 꼽았어요. 스스로 문제를 찾아 나서고, 주도적으로 일하는 사람, 즉 ‘셀프리더십’ 있는 사람을 원하는 것입니다.

 

또, 임팩트 커리어는 정답이 정해져있지 않은 불확실한 길이에요. 정해진 루트가 아닌 내가 진짜 원하는 것을 따라가야 하고, 실패와 실험을 반복하는 커리어 구조 상 내가 나를 잘 이끌 수 있어야 의미있는 커리어를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셀프리더십, 어디서부터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요?

나의 셀프리더십 유형은?

지금 나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모든 성장의 시작점이 됩니다. 먼저, 셀프리더십 레벨 테스트(링크)를 진행해보세요. 나의 레벨에 따라 어떤 실천부터 시작할지 알 수 있을 거예요.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고, 아래 유형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셀프리더십 구성 요소 9

셀프리더십은 9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어요. 테스트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9가지 점수를 레이더 그래프로 그리면 나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9가지 요소를 균형있게 가지고 있어야 좋은 셀프리더십을 가졌다고 볼 수 있어요. 9가지 구성 요소는 아래와 같아요.

 

  • 자기 목표 설정 :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 자기 보상 : 목표 달성 시 자신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는 능력
  • 자기 처벌 : 실수나 실패에 대한 자기 비판적 태도
  • 자기 관찰 : 자신의 행동과 결정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능력
  • 자기 목표 시각화 : 목표 달성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려보는 능력
  • 자기 대화 : 내면의 대화를 통한 자기 동기부여 능력
  • 자기 행동 관리 : 감정과 행동을 적절히 통제하는 능력
  • 자기 목표 중요성 인식 : 목표의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
  • 자기 감독 : 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능력
셀프리더십 부족 유형 6

1) 무한 채찍형💥

작은 실패나 실수를 해도 스스로를 끝까지 몰아붙이는 유형이에요. 비판적 자기 대화는 강하지만, 회복을 위한 긍정적 대화가 부족해, 결국 동기부여가 떨어지고 무기력해지기 쉬워요.

  • 필요한 요소 : 자기 대화, 자기 보상
  • 성장 팁
    • 실패했을 때 스스로를 탓하기보다 “무엇을 배웠지?”라고 묻는 훈련 하기
    • 작은 성과에도 “잘했어”라고 인정해주는 자기 보상 루틴 만들기
 

2) 미루기형😴

목표를 세우긴 하지만 구체성이 부족하고, 실행을 계속 미루는 유형입니다. 계획은 있는데 실행이 없다보면 점점 자존감이 낮아지기 쉬워요.

  • 필요한 요소 : 자기 목표 설정, 자기 행동 관리, 자기 관찰
  • 성장 팁
    • 목표를 ‘매우 작게’ 쪼개고 당장 실행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자.
    • 오늘 해야 할 가장 쉬운 행동 하나부터 바로 시작하자.
    • 매일 자기 행동을 간단히 기록하며 패턴을 인식하자.

 

3) 의미 상실형🔒

일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능력은 있지만, 왜 이걸 하는지 의미를 느끼지 못하는 유형입니다. 성과는 잘 쌓이지만 내적 만족감이 없어 쉽게 지치고 허무감을 느낄 수 있어요.

  • 필요한 요소 : 자기 목표 중요성 인식, 자기 목표 시각화
  • 성장 팁
    • 목표를 세울 때 ‘이 목표가 내 인생에 왜 중요한가?’를 반드시 스스로 정의하자.
    • 달성했을 때의 긍정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상상하고 기록해두자.

 

4) 몽상가형🤩

머릿속 비전과 상상은 풍부하지만, 현실적인 실행과 자기 점검이 약한 유형이에요. 생각만 하다 끝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인 변화가 잘 일어나지 않아요.

  • 필요한 요소 : 자기 관찰, 자기 감독
  • 성장 팁
    • ‘오늘 실제로 한 일 vs 계획한 일’을 비교해보는 자기 점검 루틴을 만들자.
    • 상상한 비전을 작고 구체적인 행동 단위로 변환해 실천하자.

 

5) 기분 따라 살기형🤘

감정에 따라 실천의 정도가 들쭉날쭉 바뀌는 유형이에요. 컨디션 좋은 날엔 몰아치고, 나쁜 날엔 손도 못 대는 극단적인 흐름을 보이기 쉬워요.

  • 필요한 요소 : 자기 행동 관리, 자기 관찰
  • 성장 팁
    • 하루 시작 전에 현재 감정 상태를 체크하고, 목표 강도를 조절하자.
    • 기분과 상관없이 매일 반드시 지키는 작은 루틴 하나를 정해서 유지해보자.

 

6) 긍정 착각형🧚‍♀️

긍정적인 자기 대화나 상상력은 풍부하지만, 구체적 목표 설정과 실행 계획이 약한 유형이에요. 마음만 앞서고 행동이 따라주지 않아, 성취로 이어지는 데 한계를 느껴요.

  • 필요 요소 : 자기 목표 설정, 자기 감독
  • 성장 팁
    • 추상적인 목표 대신, 수치적인 목표를 설정하기 (예: “더 건강해져야지” → “주 3회 운동 가기”)
    • 매주 목표 점검하는 시간을 고정 루틴으로 두자.
더 구체적인 성장 계획 짜고 싶다면?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한 셀프리더십 역량! 그래서 임팩트닷커리어는 매달 셀프리더십 워크숍(오프라인)을 운영하고 있어요. 함께 셀프리더십 현황을 체크하고, 다른 참가자들과 셀프리더십 발휘 경험을 나누며 다양한 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후엔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셀프리더십 역량 향상 목표를 설정하고, 실제 액션플랜까지 짜볼 수 있어, 한 참가자는 ‘아 빨리 집에 가서 실천하고 싶다!’는 후기를 남겼을 정도예요. 고민은 결정을 늦출 뿐! 내 삶의 주도권을 갖는 힘, 셀프리더십 제대로 기르고 싶다면 5월 워크숍에 참여해보세요. 임팩트닷커리어 매칭 플랫폼 5월 9일 오픈됩니다.

링크 복사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