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하는 임팩트 조직의 3가지 경쟁력

임팩트 생태계에서 진짜 경쟁력 있는 조직의 3가지 특징은?

2025.02.27

경제/산업 임팩트생태계

‘임팩트 조직은 어떻게 돈을 벌지?’ 임팩트 커리어를 고려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해봤을 고민. 왠지 사회적으로 좋은 일을 하는 조직은 돈을 못 번다고 생각을 하는 것이죠. 하지만 임팩트 생태계에서도 빠르게 성장하며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조직이 많습니다.

 

오늘 소개할 세 가지 경쟁력을 가진 조직은 후원, 투자, 협업, 판매 등을 통해 돈의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어요. 이 기준을 이해하면, 앞으로 크게 성장할 잠재력을 가진 임팩트 조직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성장하는 임팩트 조직의 3가지 특징

1️⃣ 사회 문제 해결에 혁신성 가지고 있다

특정 사회 문제를 혁신적인 방법으로 푸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자원을 끌어올 수 있을 거예요.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이 혁신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업을 요청할 수도 있고, 사회 문제 해결에 관심 있는 개인들이 지속적인 후원으로 서포트해주기도 하죠.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한 소셜벤처
배리어 프리 기술을 개발하는 소셜벤처 ‘닷’의 경우, 대표적으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구현 기술을 훨씬 낮은 비용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그 외에도 다양한 배리어 프리 구현 기술을 통해 누적 300억 원의 투자를 받으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해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이미지’를 론칭하기도 했어요. (링크) 접근성 문제를 혁신적인 기술로 경쟁력을 가진 케이스입니다.

 

정치 문제를 푸는 비영리 스타트업
반드시 기술이 있어야만 혁신적인 것은 아니에요. 비영리 스타트업 ‘뉴웨이즈’의 경우, ‘정치’라는 뾰족한 문제를 풀 수 있는 콘텐츠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만 39세 미만 ‘젊은 정치인’을 키우는 시스템을 만들어, 2022년 지방선거 때 40명의 당선인을 배출하기도 했습니다. 정치 시스템 혁신에 대한 공감대는 크지만 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뉴웨이즈는 여러 지원 사업에 선정되고 개인 후원자를 모으며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진짜 해결할 수 있는 조직이라고 신뢰받는 것이죠.

 

‘혁신’이란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어려움도 많지만, 그만큼 해냈을 때 큰 영향력을 발휘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길이에요. 이런 조직에서 일한다면 개인적인 역량 향상을 넘어, 특정 사회 문제 분야에 전문성을 가질 수 있을 거예요.

2️⃣ 기존 시장에 소셜 임팩트를 더하다

기존 산업에 임팩트를 더해 이미 수요가 많은 시장의 크기를 그대로 활용하는 전략도 경쟁력이 될 수 있어요. 다만, 사회적 가치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고객을 확보하며 성장할 수 있습니다.

 

홈리스의 일터가 되는 물류 센터
사회적 기업 ‘두핸즈’는 사람의 손이 많이 필요한 택배 시장의 특성을 이용해, 노숙인에게 일터를 제공하는 풀필먼트 기업으로 성장했어요. 지금은 250억 이상의 투자를 받고 대표적인 풀필먼트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만들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고객 니즈를 파악한 임팩트 공략
‘코액터스’는 청각장애인 운전기사를 고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대화 없이 택시를 이용하고 싶어 하는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니즈를 뾰족하게 파고들었기 때문에, 단순히 사회적 가치만 강조하는 게 아니라 ‘경쟁력 있는 서비스’로 인식되어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이렇게 시장의 언어로 임팩트를 잘 풀어낸 조직에서 일하면, 단순히 ‘좋은 취지’를 넘어 사회적 가치를 경제적 가치로 연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거예요.

3️⃣ 시대적 관심이 높은 문제를 해결한다

시대적으로 주목받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조직들은 자연스럽게 성장 기회를 얻습니다. 다양한 정책 지원금, 투자금이 사회적으로 관심 높은 문제로 몰리기 때문이에요. 대표적으로, 최근 가장 주목받는 ‘환경 문제’ 해결하는 조직을 위해 환경부는 2017년부터 84개 기업에 2000억 넘는 지원을 이어왔고, 2024년에도 900억 이상의 펀드를 조성했습니다. 여기에 민간 자본까지 더해 큰 규모의 투자를 받고 성장하는 임팩트 조직이 많아지고 있어요. 환경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인식도 높아져, 환경적 가치를 내세운 소비재 브랜드가 큰 매출을 내며 성장하기도 했습니다.

 

자원 순환에 기여하는 AI 로봇
AI 기술을 기반으로 자원 순환 회수 로봇을 운영하는 ‘수퍼빈’은 400억 원 이상의 투자를 받아 전국의 자원 순환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어요. 폐기물 처리와 자원 순환을 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과 접근 방식을 가졌다고 인정받은 것이죠. 같은 환경 문제를 풀더라도 더 혁신적인 해결법을 제시하는 조직이 경쟁력을 가지게 됩니다.

 

장애인과 함께 만드는 제로웨이스트 문화
발달장애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제로웨이스트 문화를 확산하는 사회적 기업 ‘동구밭’은 소비자들에게 그 가치를 인정받아 연 매출 100억 원을 넘는 성장을 이뤘어요. 처음엔 장애인과 함께 수제 비누를 제조하던 작은 조직이었지만, 제로웨이스트 실천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시기에 많은 관심을 받으며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시대적으로 관심 있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면 새로운 기술, 정책 변화 등을 빠르게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공부하며 전문성을 기르게 됩니다. 초반엔 임팩트 조직 내 작은 움직임 같겠지만,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이 거대한 트렌드가 된다면 임팩트를 지향하지 않던 시장도 결국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거나, 자본을 투자하게 됩니다. 이때 한발 앞서 특정 사회 문제 해결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면 다양한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거예요.

💪🏻조직도, 내 커리어도 경쟁력 있으려면?

임팩트 커리어는 단순히 사회적 가치만 바라보는 일이 아니에요. 빠르게 성장하는 조직은 실질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고,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도 함께 성장할 기회를 얻습니다. 내가 일하는 조직이 얼마나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 이해하면, 더 나은 환경에서 실력을 키우고 커리어를 발전시킬 수 있어요. 결국,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내 커리어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 되는 것입니다.

 

아직 어떻게 임팩트 커리어를 시작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임팩트닷커리어 인스타그램에서 관련 정보를 얻어보세요. 2025년엔 더 다양한 생태계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니, 임팩트닷커리어와 함께 경쟁력 있는 조직에서 여러분의 커리어를 시작하세요!

링크 복사

역량
임팩트
목록으로